"암호화폐(가상자산) 이용으로 기업 자금 조달 수단이 다양하고 간편해지고 있다."
28일 바이낸스와 블록체인법학회가 공동 주최한 '디지털혁신학술포럼'에서 김용진 프레스토랩스 대표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금융 혁신’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전통 시장에서 기업과 스타트업들의 자금 조달 어려움을 설명했다. 그는 "스타트업이 자금 조달을 받으려면 코스닥, 나스닥 등에서 IPO(기업공개)를 해야 했다"며 "이는 준비기간, 규제, 정치적 사안 등으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기업들이 자체 토크노믹스를 만들고 이를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해 빠르게 자금 조달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며 "이런 방식으로 많은 시간과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스닥 같은 전통 주식시장에 상장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토큰은 개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며 "금융 시스템이 낙후된 지역과 리테일에 기회의 폭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라-루나 사태 이후 암호화폐 시장 주도권이 블록체인 업계에서 주류 기관으로 넘어갔다는 의견도 나왔다. 진창호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파트너는 "테라-루나 사태 이후 기관을 중심으로 혁신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예전에는 JP모건과 같은 대형 금융기관들이 토큰 증권의 발행과 유통 기술을 가진 기업에 투자를 많이 했지만 최근에는 일본의 노무라, SBI 벤처와 같은 전통 금융기관들이 직접 암호화폐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선진국들은 이미 증권형 토큰(STO) 규제 제도를 만들고 사업을 하고 있다"며 "STO 시장은 앞으로 연평균 60%의 성장을 이루며 2030년까지 16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전통 금융 기관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은 암호화폐 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암호화폐 적정 가치를 측정하는 데 온체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준우 쟁글 대표는 "전통 금융은 재무제표와 같은 공통된 합의 기준으로 기업 가치를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다"며 "암호화폐는 온체인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 데이터 측정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합의된 기준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쟁글은 암호화폐 공시, 시세, 유통량 모니터링, 분석 리포트 등을 제공한다.
출처: 코인데스크코리아
모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