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시장에서 가장 화제가 된 주제는 이더리움과 관련된 것 같습니다. 하나는 비탈릭 부테린이 커뮤니티 AMA에서 이더리움의 현재 곤경, 문제점 및 몇 가지 해결책을 공유하여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주말에 바이비트에서 50만 개가 넘는 이더리움이 갑자기 도난당한 것입니다. 이 두 사건의 영향은 완전히 달랐지만 둘 다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삼았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이더리움의 성과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종종 매우 냉소적인 발언이었습니다. "이더리움을 사면 전생에 갚았던 모든 빚을 갚아야 합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가격을 풍자하기 위한 것입니다. 결국 업계의 현재 상황은 가격 자체가 바로 옆집의 솔라나처럼 개발을 크게 반영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현실로 돌아와서, 이더리움은 어떤 어려움에 직면했을까요? 이로 인해 전반적인 시장 가치와 커뮤니티 평판이 흔들렸을까요?
오랫동안 이더리움에 주목해 온 몇몇 핵심 커뮤니티 멤버들과 논의를 한 후, 그들은 이더리움 재단이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상태에 있으며, 종종 ETH를 판매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 Layer2의 폭발적 성장으로 이더리움 자체의 가치가 약해졌다는 것, 시장에서 인기 있는 새로운 이야기가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에서 폭발적으로 확산되지 않았다는 것 등 겉보기에 좋은 피드백을 많이 주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설명은 요점을 잘 잡은 것 같지만 저자는 이것이 단지 피상적인 표현일 뿐이며 본질은 다른 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이 실패하는 이유에 대한 주제와 관련해 『혁신자의 딜레마』라는 베스트셀러가 있는데, 이 책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서적 20권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했습니다. 이 책의 결론은 이렇다. 훌륭한 대기업이 실패하는 이유는 소기업이 파괴적 혁신을 수행하여 대기업의 시장을 침범하기 때문이다. 반면 대기업이 하는 혁신의 대부분은 "지속적인 혁신"이기 때문에 소기업이 대기업의 시장을 "파괴"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이것이 현재 이더리움이 직면한 진짜 과제입니다.

돌이켜보면, 이더리움 메인넷이 탄생한 지 거의 10년이 지났습니다. 10년은 기업에게 있어서 결코 어린 시간이 아니며, 특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Web 3.0 산업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최근 인터뷰에서 이더리움 설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이 회사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더리움은 회사가 아니라 분산형 생태계라고 생각합니다. 이더리움이 회사가 된다면 우리는 이더리움의 존재 의미의 대부분을 잃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이더리움의 발전이 기업화의 결과가 아니었다면 이야기가 달랐을지도 모른다. 결국 블록체인 분야에서 진정으로 "탈기업화"를 이룬 프로젝트는 비트코인뿐이며, 다른 프로젝트는 없다.
따라서 이더리움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과제는 실제로 모든 대기업이 마주하게 될 문제와 유사합니다. 즉, 전반적인 혁신이 방해받고 있으며, 경영(이더리움 재단)이 '구식'이고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비탈릭 부테린은 인터뷰에서 이더리움이 현재의 곤경을 벗어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은 새로운 스토리를 전하는 것이며, 이 새로운 스토리는 실제로 혁신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 재단은 최근 몇 달 동안 많은 내부 개혁을 시작했다"고 언급되었으며, 이러한 개혁은 조직의 효율성 문제를 목표로 합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이 사업이라는 것을 부인하지만, 조직적 문제가 드러났을 때 기업을 관리하는 방식만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더리움의 미래 개발을 위한 또 다른 과제가 등장했습니다. 비탈릭이 관리자가 될 준비가 되었을까요?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이 사업이라는 것을 부인하지만, 조직적 문제가 드러났을 때 기업을 관리하는 방식만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더리움의 미래 개발을 위한 또 다른 과제가 등장했습니다. 비탈릭이 관리자가 될 준비가 되었을까요?
비탈릭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처음으로 목소리를 냈지만, 지금 그가 직면한 것은 대기업의 변화입니다. 몇 년간의 엄청난 성장 후, 비탈릭은 또한 기술 전문가에서 기업가처럼 보이지 않는 "기업가"로 변화해야 하며, 심지어 "분권화"를 재고하거나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그는 준비가 되었을까요?
인터뷰 전체를 읽고 난 후, 저는 Vitalik이 변신에서 거대한 심리적 갈등을 겪을지 매우 궁금합니다. 결국, Ethereum 자체뿐만 아니라 영혼의 형상 자체도 재형성되어야 합니다. 아니면 한 달 이상 전에 프로필 사진을 변경했을 때 이미 마음을 정했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모르고 이해하지 못합니다. 결국, "드래곤 슬레이어"는 더 이상 젊지 않으며, 세상의 충돌을 경험한 후에는 항상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더리움이 이러한 과제를 극복할 수 있을지, 그리고 이더리움의 미래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다면, 아마도 한 문장으로 요약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것입니다. ETH는 여전히 3,300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프로젝트입니다.
모든 댓글